[날씨쏙 과학쏙] 도로 살얼음, 얼마나 위험할까? 제가 미끄러져 봤습니다!<br /><br />일상 속 궁금했던 날씨와 과학 현상을 알기 쉽게 전달해 드리는 날씨쏙 과학쏙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월, 경기 포천시 고속도로에서 차량 47대가 연쇄 추돌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얼어붙은 빙판길에 차들이 미끄러지며 연달아 부딪힌 건데요.<br /><br />사고 원인은 '도로 살얼음'이었습니다.<br /><br />도로 살얼음은 눈이나 비가 아스팔트의 미세한 틈 사이로 스며들고, 그대로 얼어붙으면서 생기는데요.<br /><br />햇볕이 잘 닿지 않아 표면 온도가 낮은 터널 출입구나 그늘진 도로 등에서 자주 발생합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운전자 눈에 잘 보이지 않아서 미끄러지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건데요.<br /><br />도로 살얼음의 위험성은 어느 정도일까요.<br /><br />제가 직접 체험해 봤습니다.<br /><br />상주에 있는 교통안전체험교육센터입니다.<br /><br />시속 40km로 마른 도로 위를 달리다 브레이크를 밟았더니, 제동거리는 8m.<br /><br />시속 50km로 속도를 올려도 10m 정도입니다.<br /><br />대리석 위에 물을 뿌려 도로 위에 살얼음이 낀 것처럼 환경을 만들어봤습니다.<br /><br />시속 40km로 달리다 도로 살얼음을 만나니 제동거리가 16m, 시속 50km에서는 30m까지 늘어납니다.<br /><br />빈 버스를 타고 달렸을 때는 빙판길 제동거리가 33m로 마른 노면의 3배 수준이었습니다.<br /><br />무거운 차일수록 미끄러지는 거리는 더 늘어납니다.<br /><br />2톤 트럭은 제동거리가 50m로 실험 구역을 아예 벗어나 버렸습니다.<br /><br />그다지 빠른 속도로 주행하지 않더라도 살얼음 위에서는 제동거리가 4배에서 5배 수준으로 크게 늘어난다는 걸 보여줍니다.<br /><br />살얼음이 낀 커브 길에서는 어떨까.<br /><br />시속 30km로 달릴 때는 미끄러져도 핸들 조작이 가능하지만, 속도를 시속 50km로 올리자 그대로 차량이 도로를 이탈해 버립니다.<br /><br /> "제가 핸들을 꺾어도 제가 원하는 방향대로 안 가고 밖으로 튕겨 나가는 그런 현상으로 이어집니다."<br /><br />트럭과 같은 후륜구동 차량은 차의 뒷부분이 돌며 미끄러지는 '오버스티어' 현상이 나타납니다.<br /><br />안전 문제로 속도를 더 높여 실험하진 못했지만, 실제 고속도로에서 시속 40km보다 더 빠르게 달린다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애초에 속도를 줄여 안전 운전하는 것이 살얼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입니다.<br /><br /> "일반적으로 도로교통법에서 눈이 20mm 이상 내리거나 도로에 얼음이 끼거나 결빙됐을 때 50% 감속 기준이 됩니다. 그래서 최고 속도를 50% 감속한 상태에서 주행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으로 생각됩니다."<br /><br />기상청은 내비게이션을 통해 도로 살얼음 위험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위험 구간을 지날 때는 앞 차와 충분한 거리를 두고, 급가속이나 급제동은 피하는 게 안전하고요.<br /><br />차가 미끄러질 경우 한 번에 브레이크를 세게 밟는 것보다 짧게 끊어 밟고,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핸들을 돌려야 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날씨쏙 과학쏙이었습니다.<br /><br />임하경 기자 (limhakyung@yna.co.kr)<br /><br />#도로살얼음 #블랙아이스 #살얼음 #결빙 #도로 #겨울철_운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